영위, 영위하다

영위(營爲)
영위(營爲)란 명사로써
일을 꾸려 나간다는 의미입니다.
 
예문)

  1. 최종적 소비활동을 영위하는 경제주체
  2. 그녀는 삶의 영위 방식이 남들과는 좀 다르다.
  3. 사람들은 수준 높은 문화생활의 영위를 원하고 있다.

동사로 사용될 경우에는
영위(營爲)하다.라고 사용이 되는데
 
예문)

  1. 문화생활을 영위하다.
  2. 삶을 영위하다.

 
보통 삶을 영위하다라고 이야기하면
영위하다 = 누리다 같은 표현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데
영위하다의 어근은
영위() : 일을 꾸려 나가다 이므로
'즐기거나 맛보다'의 뜻을 나타내는 '누리다'와는 거리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삶을 영위하다'는 '삶을 살아가다'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김승호 돈의속성

오늘부터 하루에 하나씩 간단한 경제용어부터 공부하려고 한다.

김승호 "돈의속성" 에서는 많은 돈을 만지기 위해서는

경제용어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문구가 쓰여 있다

 

외국어를 공부하면서 여러 가지 깨달은 것이 있는데

영어, 일본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여러 외국어를 공부하는 첫 발걸음은 "단어 외우기"로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지금에 와서 깨달았다

 

나에겐 경제란 내가 살고 있는 곳과 다른 마치 외국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에

외국어를 공부한다는 느낌으로 시작을 하고 싶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청년으로서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서는 역시 경제적인 단어부터 공부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한국은행에서는 경제금융용어 700선을 만들어 배포했으나

경제에 관해서 기본적인 단어도 모르고 있는 나로서는 

전혀 이해되지 않는 단어들로 빽빽하게 채워져 있다 

그래서....

모르는 단어가 보이면 그 단어부터 공부하기로 결정했다

 

예를 들어 경제금융용어 700선에는 

첫 번째 경제용어로 가계부실위험지수(HDRI)가 나오는데

"가계"란 정확히 무엇인가에 대해 스스로 정의할 수 없어서

"가계"에 대해서 검색해 봤으나 첫 줄에 

"가계(家計)"는 경제활동의 결과 얻어진 대가를 수입원으로 하여 상품의 최종적 소비활동을 영위하는 경제주체이다."

라고 쓰여있었지만 

"영위"와 "경제주체"라는 단어를 모르기 때문에 이해가 불가능했다.

 

이런 식으로 단어 하나하나를 이해하려고 하면 한도 끝도 없다고 분명 말하겠지만

나는 이 한도 끝도 없는 짓을 오늘부터 도전해보려고 한다.

이 글을 읽는 여러분도 같이 미쳤다고 생각하고 하나씩 도전해보는 건 어떠십니까?

 

+ Recent posts